진료시간안내
- 월화목금 09:00 ~ 19:00
- 수요일 09:00 ~ 13:00
- 토요일 09:00 ~ 14:00
- 공휴일 휴진
- 일요일 휴진
- 점심시간 13:00 ~ 14:00
수요일 오후 휴진합니다. 공휴일,일요일 휴진합니다.
홈으로
위식도역류질환, 재발 잦다면 '만성질환'… 약물 치료와 생활 습관 관리가 핵심
"약을 먹을 때만 괜찮고, 끊으면 다시 속이 쓰려요." 진료실에서 위식도역류질환 환자들이 가장 자주 하소연하는 말입니다. 위식도역류질환은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일시적인 약물 복용만으로는 해결되지 않고 자주 재발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완치'보다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만성 질환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위식도역류질환은 흔히 속쓰림이나 가슴 통증으로 알려져 있지만, 단지 위장 질환으로만 보기엔 어렵습니다. 쉰 목소리, 만성 기침, 목 이물감, 가래, 심지어는 잦은 인후염까지도 위식도역류질환과 관련될 수 있으며, 이런 증상으로 이비인후과를 먼저 찾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이러한 증상이 단순 감기나 음성 질환으로 오인되기 쉬워, 위식도역류질환이라는 원인을 간과한 채 반복적으로 치료를 받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위산으로 인한 인후 자극이 누적되면 점막 손상이 지속되고 삶의 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증상이 반복된다면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한 평가와 치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위산 억제 치료의 변화, 새로운 선택지 위산 분비 차단제
위산 역류로 인한 증상 조절에는 위산 분비 억제제가 치료의 핵심입니다. 지금까지는 양성자펌프억제제(ppi)가 가장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많은 환자에서 효과적인 약물로 자리 잡아 왔습니다. 하지만 일부 환자에서는 양성자펌프억제제 복용에도 불편함이 지속되거나 식전 복용 약물의 경우 복약 순응도가 떨어지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위산 분비 차단제(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가 보다 빠르고 유연한 위산 억제 치료 옵션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위산 분비 차단제는 투여 첫날부터 강력한 위산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식사와 관계없이 복용이 가능하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이는 위산 억제를 위해 복잡한 전환 과정을 거쳐야 하는 ppi와의 차이점이며, 특히 야간에 증상이 심한 환자나 생활 패턴이 일정하지 않은 환자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또한, 항혈전제와 같이 cyp2c19 대사 경로를 이용하는 약을 복용하는 일부 환자에서는 동시 복용이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실제로 위식도역류질환은 약물로 증상이 호전되더라도 70~90%의 환자가 약물 중단 후 수개월 내 재발을 경험합니다. 따라서 이 질환은 단기 치료보다는 장기적인 '관리'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며 환자 교육이 매우 중요합니다. 위산 분비 차단제는 초기 치료는 물론, 증상 재발을 막기 위한 유지요법(on-demand therapy)에도 적합합니다. 증상이 있을 때만 복용하거나 낮은 용량을 장기 복용하는 방식도 가능해 치료 전략을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습니다.
약물 치료 외 생활 습관 관리도 중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는 약물만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취침 전 과식 자제, 체중 조절, 자극적인 음식이나 카페인·탄산음료 제한, 금연, 음주 줄이기 등 생활 습관 개선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치료 효과가 유지됩니다.
이비인후과 진료실에서도 "목에 뭔가 걸린 느낌이 든다", "가래가 내려가지 않는다"라는 증상으로 내원한 환자 중 위식도역류질환이 원인인 경우를 자주 접합니다. 이러한 환자에게 단순히 인후염 치료만을 반복하기보다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위산 억제 치료를 병행해야 증상이 근본적으로 호전될 수 있습니다.
양성자펌프억제제는 오랜 기간 위산 억제 치료의 표준으로 사용되어 왔고 현재도 많은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제입니다. 다만, 양성자펌프억제제로 증상 조절이 어렵거나 반복적으로 재발하는 환자, 야간 증상이 심한 환자, 복약 시간에 제약을 받는 환자에게는 위산분비 차단제가 유효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치료가 아닌, '조절'이 필요한 만성질환
위식도역류질환은 이제 '치료'가 아닌 '조절'의 시대입니다. 환자와 의료진 모두 이러한 인식 전환을 통해 보다 지속 가능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세워 나가야 합니다. 위산분비 차단제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열어가는 약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임상 연구와 다양한 환자군에서의 활용이 더욱 기대됩니다.